장담그기
-
후지필름 한국 유네스코유산 기록 프로젝트농촌이야기 2025. 4. 3. 18:45
“애들이 이제 그만하라고 성화인데,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장 담가요” 지난 2월 진안군 하향마을에서 들은 이야기입니다. “우리 마을은 이제 장 담그는 분이 없어요. 저도 장 담근 지 오래됐네요.” 고창군 용현마을에서도 앞으로는 장 담그는 일 보기가 어렵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지난해 12월 3일(현지 시각) 파라과이에서 열린 제19차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으로 올린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에 대해 유네스코는 “밥과 김치와 함께 한국 식단의 핵심인 장을 정성껏 만드는 기술과 지혜는 물론, 장을 만들고 나누는 과정에서 형성된 가족과 사회 공동체의 정신을 전승해 왔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장 담그기 문화가 앞으로도 인류가 보존해야 할 무형유산으로 계속 자리하기 위해서..
-
인류무형문화유산 '장 담그기 문화'농촌이야기 2025. 2. 9. 23:44
1. 저는 요즘 후지필름 주관 유네스코 유산 기록 프로젝트 일환으로 전라북도 지역의 장 담그기 모습을 사진 촬영하고 있습니다. 계획대로 진행한다면 4월 12일경 전주시 서학동에 있는 전시장인 ‘아트갤러리전주’에서 전라북도 유네스코 유산인 백제역사유적지구, 정읍 무성서원, 서해 갯벌, 판소리, 태권도 등 여러 사진가가 곳곳에서 찍은 사진과 함께 전시할 예정입니다.제가 사는 곳이 충남 보령이다 보니 전라북도 내에 장 담그는 모습을 찍는 일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몇 분의 도움을 얻어가며 틈틈이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2월은 입춘이 지나고 오히려 눈이 많이 내려서 도로 사정은 좋지 않았지만, 오고 가며 바라본 눈 덮인 전라북도 마을 풍경은 큰 선물로 다가왔습니다. . 2015년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