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 사랑이런저런글 2008. 9. 21. 17:29
사랑 사랑한다는 것은 들꽃의 이름을 아는 것과 같아 내가 가진 많은 것들을 네 위에 쌓아놓아도 정답게 불러주는 이름 앞에서는 바람에 흘러가는 구름 사랑한다는 것은 너의 이름으로 꿈을 꾸는 것과 같아 네가 있는 자리에서 맴돌다가 맴돌다가 작은 꽃씨가 되면 너의 이름으로 피어나 다정한 목소리에 배시시 얼굴 붉히는 행복 . . . . 지금은 오래 된 시간... 좋은 선생님 아래서 사물에 이름을 붙이며 그 의미를 깨닫는 공부 시간에 마침글로 써 본 것을 찾아내어 들꽃마당에서 민들레 홀씨를 보며 끝 부분을 다시 정리했습니다. -덧붙임- 너도 가렴. 너의 이름을 불러 줄 나라를 찾아서... 너의 상상이 펼쳐지면, 너의 나라에서 내 이름을 불러다오.
-
뽐뿌(pump)... 이야기..이런저런글 2008. 9. 21. 17:08
*주교면 주교리에서 만난 뽐뿌* 뽐뿌[pump] (급수 펌프나 진공 펌프 따위에서) 압력 작용으로 액체나 기체를 관을 통하여 자아올리거나 이동시키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그땐 정말이지 네가 가져 온 물 한 바가지만으로도 아무런 걱정이 없었지 · · · 무덤덤한듯 해도 나를 향한 네 따뜻함이 쌓이면 쌓일수록 내 노래는 마냥 흥겹게 터져 나왔지 · · · 숨길래야 숨길 수 없는 내 그리움은 네 힘이 닿으면 닿을수록 솟구치고 튀어올라 위로만 위로만 날아 올랐지 · · · ..... 언제였지 바람불고 둥지 튼 새들도 떠나가던 날 나는 혼자 남아 네가 다시 돌아올 날을 가슴에 새기기 시작한 날이... · · · 그러나 나는 속으로도 울지 않았지... 다시는 너의 손이 내 심장의 거센 박동 소리를 다듬어 주지..
-
눈 내린 들꽃마당들꽃마당 2008. 9. 21. 16:57
(*2007년 12월) 눈이 제법 많이 왔습니다. 들꽃마당에도 눈꽃이 잔뜩 피어났습니다. 눈이 내린 들꽃마당의 이런 저런 모습들입니다. 십자가에도 눈이 내립니다 겨울 느티나무 들꽃마당 진입로 풍경 퍼붓다시피 눈은 내리고... 들꽃마당 쉼터 장식 中...^^ 목회연구실 풍경 눈꽃이 피어난 바위솔 이제 조금 있으면 이 눈을 뚫고 '복수초'가 고개를 내밉니다... 보고 싶습니다. 들꽃마당 숲길 #1 들꽃마당 숲길 #2 들꽃마당 숲길 #3 들꽃마당 운동장 풍경 푸르름은 겨울에도 희망이 됩니다
-
-
춘장대 가는 풍경이런저런글 2008. 9. 21. 16:43
예전에 많이도 손에 쥐고 이런 저런 사진을 찍었던 가벼운(?) 올림푸스 4000Z을 들고 길을 나섰습니다.(그래도 400만 화소라서 여전히 쓸만합니다.) 그리고... 초여름의 향기를 느끼며 모처럼 춘장대를 지나갔습니다. 가는 사이 사이 염소 새끼들도 한 장 찍어 주고 찔레꽃, 뱀딸기도 찍고 밭에서도 수로에서도 찍고 그러다보니 춘장대더군요... 어느 동네인지... 춘장대 가는 길. 힘 자랑하는 염소 새끼들 모처럼 보는 뱀딸기 찔레줄기 꺾어 먹던 옛생각이 납니다. 주인은 간데 없지만 이놈 참 고마운 놈이죠... 각 논으로 힘있게 물이 흘러갑니다. 수로 구경하는 재미도 상당히 쏠쏠합니다. 드디어 춘장대 모래밭. 게눈 감추듯이 한다더니... 그러나 저러나 백사장에 그놈의 네발 오토바이들은 다니지 못하게 해야겠어..
-
송별(送別) 2이런저런글 2008. 9. 21. 16:42
문득 끄집어 내 본 사진엔 아직도 당신의 자취가 남아 있군요. 웃으면서 만났던 날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사진은 빛바래지고 손 흔들면서 헤어진 날은 저만치 머물러 있군요. 그렇게 흘러간 시간 속에서 그댄 함께 묻어간 추억들을 아직도 잘 간직하고 있는지요? 우리가 떨어져 있는 거리만큼이나 우리 함께 한 사진은 더욱 낡아지겠지요. 하지만 우리가 걸어갔던 날들은 뒤이은 발걸음들로 더욱 단단해지고 그대 생각에 언제라도 찾으면 변하지 않는 모습으로 다시 길이 되겠지요. 그 길 위에서 다시 만날 애틋함이 새롭기에 그렇게 인사드린 그 날이 늘 그립습니다. 또 만나면 곧바로 안녕이란 말을 해야겠지만 그래도 그 한마디라도 하고 싶어 오늘은 이렇게 만지작거리는 사진 한 장 길게 늘어뜨립니다.
-
잡초와 함께 살아가기(2)농촌이야기 2008. 9. 21. 16:36
사실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셨을 때 잡초란 없었을 것입니다. 긴 설명을 안 해도 하나님께서 세상에 쓸데없는 것을 만들지 않으셨을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 테니까요. 하지만 하나님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바뀌면서 도시와 농촌 어디서건 잡초는 매우 골치아픈 존재거리로 제거대상이 되고 말았습니다. 도시는 미관을 위해서, 농촌은 농작물 생산량 증대를 외치면서 말이죠... 농업 생산에 있어서 잡초가 본격적으로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은 식량 생산의 극대화를 목표로 삼으면서부터입니다. 예전에는 잡초를 뽑되 논밭의 생태적 균형을 배려할 줄 알았으며, 또 농가에서는 자생하는 풀들의 특성을 활용할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오직 생산량이 목표치가 되고, 자본에 의한 농업 방식이 되면서 작물 이외의 모든 풀들은 쓸데없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