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후지필름 한국 유네스코유산 기록 프로젝트농촌이야기 2025. 4. 3. 18:45
“애들이 이제 그만하라고 성화인데,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장 담가요” 지난 2월 진안군 하향마을에서 들은 이야기입니다. “우리 마을은 이제 장 담그는 분이 없어요. 저도 장 담근 지 오래됐네요.” 고창군 용현마을에서도 앞으로는 장 담그는 일 보기가 어렵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지난해 12월 3일(현지 시각) 파라과이에서 열린 제19차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으로 올린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에 대해 유네스코는 “밥과 김치와 함께 한국 식단의 핵심인 장을 정성껏 만드는 기술과 지혜는 물론, 장을 만들고 나누는 과정에서 형성된 가족과 사회 공동체의 정신을 전승해 왔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장 담그기 문화가 앞으로도 인류가 보존해야 할 무형유산으로 계속 자리하기 위해서..
-
천북 '청보리밭'보령여행 2025. 2. 14. 22:48
제가 사는 천북면에 청보리밭이 있습니다. 삼십 년 전에는 사과 과수원이었다가 많은 사람 발걸음이 오고 가면서 지금 청보리밭 모습이 자리 잡았습니다. 언덕에는 창고를 빈티지하게 단장한 카페가 주변 풍경을 잘 연결하고 있습니다. 아직 겨울이지만, 그래도 입춘 추위가 지나니 한결 날씨가 좋아서 모처럼 청보리밭에 올랐습니다. 파릇한 보리싹이 이야기를 머금고 자라납니다. 보리밭을 둘러보며 걷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점점 더 정감 어린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 . - 보령시 천북면 하만리
-
인류무형문화유산 '장 담그기 문화'농촌이야기 2025. 2. 9. 23:44
1. 저는 요즘 후지필름 주관 유네스코 유산 기록 프로젝트 일환으로 전라북도 지역의 장 담그기 모습을 사진 촬영하고 있습니다. 계획대로 진행한다면 4월 12일경 전주시 서학동에 있는 전시장인 ‘아트갤러리전주’에서 전라북도 유네스코 유산인 백제역사유적지구, 정읍 무성서원, 서해 갯벌, 판소리, 태권도 등 여러 사진가가 곳곳에서 찍은 사진과 함께 전시할 예정입니다.제가 사는 곳이 충남 보령이다 보니 전라북도 내에 장 담그는 모습을 찍는 일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몇 분의 도움을 얻어가며 틈틈이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2월은 입춘이 지나고 오히려 눈이 많이 내려서 도로 사정은 좋지 않았지만, 오고 가며 바라본 눈 덮인 전라북도 마을 풍경은 큰 선물로 다가왔습니다. . 2015년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기초..
-
기후 약자를 기억하는 2025년농촌이야기 2024. 12. 9. 18:24
- 농민, 여성 농민을 중심으로 - 1. 2024년도에 기억에 남는 일이 여럿 있는데, 그중 충격적인 것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 근처의 벼멸구 피해를 본 가을 논 모습이었습니다. 추수를 앞뒀지만, 황금색 물결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갑작스러운 벼멸구 출몰로 보기도 흉한 누렇게 말라붙은 논 모습은 보는 자체만으로도 무척 안타까웠습니다. 벼멸구는 벼 줄기 하단의 즙을 빨아 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피해를 보면 벼가 잘 자라지 않으며 말라죽기도 하고, 분비물로 인해 그을음병이 발생하여 2차 피해까지 초래합니다. 수확량이 감소하는 것은 물론이고 쌀 품질까지 떨어집니다. 벼멸구가 무서운 이유는 번식력이 엄청나게 빠르다는 겁니다. 전남·전북·충남 등 벼 주산지는 물론 충북·경남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벼멸구 ..
-
미술관 산책이런저런글 2024. 10. 9. 23:42
1. 가까운 홍성에 이응노의 집이 복원되면서 전시된 그의 작품을 보려고 이웃과 가끔 다녀오면 예술이란 자연스러운 삶의 일부이며 살아가는 에너지를 제공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에너지가 되는 예술은 예술을 생각하는 사람이 만들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누립니다. 지나는 비에 옷이 젖는 것처럼 곁에만 있어도 젖어 듭니다. 예술은 삶과 분리되지 않은 채 새롭게 살아가는 즐거움을 줍니다. 천수만 기슭 서산 부석면 창리에 ‘서해미술관’이 있습니다. 바닷가이면서 산속에 있는 듯한 미술관입니다. 오랜 이야기가 모여 있는 곳입니다. 옛날 작은 학교가 미술관이 되었으니까요. 이응노의 집처럼 가까운 곳에 자주 갈 수 있는 미술관이 있어서 참 좋습니다.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일이 다른 사람은 좋다는데 나에게는 딱히 무엇이 좋은지 체..